정보이야기

80/20 법칙

행복지킴이1 2005. 12. 13. 15:25
80/20 법칙
 
 
80/20 법칙은 80%의 효과(결과)는 20%의 노력(투입)으로 부터 온다는 의미로 기업이나 개인 모두에게 최소의 노력(투입)으로 최대의 효과(결과)를 거둘 수 있는 비밀을 발견할 수 있게 해 준다.

최소 노력으로, 최대 효과 추구 

요즘, 개인이나 기업 할 것 없이 모두 낭비 요인 제거, 근검 절약, 사업 구조 조정, 임금 삭감, 감량 경영 등을 통해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이 때 개인이나 기업이 잊어서는 안될 의사결정의 원칙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80/20 법칙이다. 원래 이 법칙은 경제학자인 파레토에 의해서 100년전에 발표되었다. 즉, 그는 소득과 부와의 관계를 연구하다가 어느 나라, 어느 시간에 상관없이 동일한 패턴으로, 전체 부의 80%는 20%의 사람에 의해서 소유된다는 것을 발표하였던 것이다.

이 법칙의 의미는 80%의 효과(결과)는 20%의 노력(투입)으로 부터 온다는 것으로 기업이나 개인 모두에게 최소의 노력(투입)으로 최대의 효과(결과)를 거둘 수 있는 비밀을 발견할 수 있게 해 준다. 이 법칙은 성공한 기업이나 개인이 갖추어야 할 중요한 조건 중에 하나이다. 몇 가지 적용 예를 살펴 보자.


적용 분야 무수히 많아

일반적으로 우리 나라 기업은 80/20 원칙에 입각한 경영보다는 돈되는 것이며 무엇이든지 시도하는 차입 경영을 통해 문어발식 확장을 해 온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결과 선택과 집중 등 명확한 사업 전략이 부재했고 제품과 모델수가 너무 많아 생산 관리, 재고 관리 등 경영 관리상에 비효율성이 매우 높았다.

그러나 초우량 기업들의 경영 활동 모습을 살펴 보면 명확한 핵심 사업군이 있고 핵심 제품과 고객의 집중 관리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시키고 있다. 결국 이들은 제품 아이템의 20%가 매출이나 이익의 80% 이상을 차지하며 전체 고객 중 핵심 고객 20%가 전체 매출이나 이익의 80% 이상을 차지한다는 80/20 법칙을 명확히 알고 이를 사업 전략, 제품 관리, 고객 관리, 품질 관리, 재고 관리, 프로젝트 관리 등 기업의 전 분야에 적용시킨 것이다. 결국 이 원칙은 기업의 경영 방식이 복잡성 경영에서 탈피하여 단순/집중 경영으로 전환해야 함을 가르쳐 준다.

개인 활동의 경우에도 사명 달성에 기여도가 낮은 자질구레하고 긴급한 일들은 종류도 많고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그리하여 대부분의 개인들은 사명 달성에 기여도가 높은 중요한 일보다는 자질 구레하고 긴급한 일에 많은 시간을 투입하는 잘못을 범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성공적인 삶을 사는 개인들의 활동 패턴을 보면 80/20 원칙에 입각하여 중요한 일에 해당하는 20%를 우선적으로 잘 관리하므로써 삶의 질을 극대화시키는 등 성공적인 삶을 살아가고 있다. 이 법칙은 결국 개인이 시간 관리에 있어서는 긴급성보다는 중요성의 관점을 갖고 행동해야 함을 가르쳐 준다. 이 밖에도 사회, 교육, 가정 부문 등 이 법칙의 적용 분야는 무수히 많다.

중요한 것에 집중 해야


기업이나 개인에게 주어지는 시간, 돈, 인력 등 자원은 무한하지 않고 유한하다. 이러한 연고로 주어진 자원을 어떻게 잘 배분/관리하는냐가 개인이나 기업의 생존/번영에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이다. 결국 80/20 법칙은 기업 활동이건 개인 삶이건 어떠한 경우에도 단순히 노력을 쌓아가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하며 중요한 것(20%의 노력 부분)을 명확히 정의하고 이에 집중하여 자원을 배분/활용해야 성장/발전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